분류 전체보기
-
[JAVA] this의 의미JAVA 2020. 11. 13. 15:4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ublic class Shop{ //필드 int stock; //메소드 void setStock(int a){ stock = a; } } cs 위와 같이 stock 에 외부의 값을 입력받을수 있는 setStock() 이라는 Setter함수를 선언하였다. 위에서는 메서드의 인자 변수이름을 int a 라 하였는데 여기서 인자값의 변수를 필드의 이름과 같이 하려면? this를 사용하면, 메서드의 인수나 변수에 필드와 같은 이름을 붙여도 그것들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is 는 주로 생성자와 메소드의 매개변수 이름이 필드와 동일한 경우, 인스턴스 멤버인 필드임을 명시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
-
[JAVA] 참조형 (Reference)이란?JAVA 2020. 11. 13. 15:30
참조형이란? 기본형 8가지 이외에는 모두 참조형 이며 참조형 변수는 null값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고, 정의된 생성자를 통해 생성 된다. 힙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기본형을 제외한 자료형 -참조 값을 가진다. -클래스를 자료형으로 선언할때 -배열, 스트링등 -힙(heap)의 할당 된다. Reference type(참조형) 대표적인 참조형 ● 배열 1 int[] gocoder_arry = {1, 2, 3}; cs ● 열거 1 Enumeration e = g.elements(); cs ● 클래스 1 GocoderClass gc = new GocoderClass(); cs ● 스트링 1 String str = "gocoder"; cs ● 인터페이스 1 public interface interface { }..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란DB 2020. 11. 13. 15:23
들어가기전 간단한 용어정리 * 열(column) : 필드(field) 라고도 부르며, 항목의 속성(명칭)을 나타낸다. 필드 마다 각각 정수, 텍스트 같은 데이터 유형을 정할 수 있다. * 행(row) : 레코드(record) 라고도 부르며, 각 데이터 항목을 저장한다. * 스키마(schema) : 필드는 데이터 유형뿐만 아니라 제약사항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약사항을 스키마라고 부른다. 예를들어 필드는 중복 값을 해당 행에 저장할 수 없다거나, 반드시 값을 가져야 한다(not null)는 조건 등을 걸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관계 각 테이블의 행과 행이 연결되는 관계를 맺을수 있기 때문에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테이블간의 관계는 일 대 일, 일 대 다, 다 대 다 의..
-
배열알고리즘 & 자료구조 2020. 11. 10. 20:55
변수에는 한계가 있다. 1개의 변수에는 데이터를 각각 1개씩만 넣을 수 있다. 즉 100개의 정수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정수형 변수를 100개 준비 해야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변수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아이디어가 바로 배열 이라고 불리는 구조다. 배열의 구조 배열이란? 같은 데이터형의 여러 변수를 모아 관리하는 구조다. 배열을 사용하면 단지 한줄로 여러 변수를 동시에 선언하는 것과 똑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ex) -C언어로 5개의 수납 장소를 갖는 정수형 배열 선언 int i[5]; -java에서의 배열 선언 int[] i; i = new int[5]; 여기서 배열안의 각 변수를 '요소' 라고 한다. 배열 요소에 데이터를 대입하려면? 배열 선언후 데이터를 각 요소에 자유롭게 대입할수 있는데 대입..
-
[C] 출력과 입력(printf, scanf , scanf_s)C \ C++ 2020. 11. 2. 16:47
출력 데이터를 출력 하기 위해서는 "printf" 라는 함수를 사용한다. 형식 printf("서식", 데이터); 서식 데이터 타입 비고 %d int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u unsigned int 부호 없는 10진수 정수 %o int 8진수 %x int 16진수 정수 소문자 %X int 16진수 정수 대문자 %f float 실수 %lf double 실수 %e florat,double 부동소수점 e(소문자) 방식 실수 %E float,double 부동소수점 E(대문자) 방식 실수 %c char 문자 %s,%S char*,char[] 문자열 %p void* 포인트형 데이터에는 변수 혹은 상수를 넣어서 출력을 한다.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
[C] 자료형 (Data Type)C \ C++ 2020. 11. 2. 12:13
C 언어의 자료형은 일정 크기(길이)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변수와 상수 상수 상수는 값이 확정되어 앞으로 변할 가능성이 없는 수를 말하며, c언어에서 상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리터럴 상수 문자상수: ex.'A' 문자열 상수: ex."Hello World" 정수 상수: ex. 3,4L 실수 상수: ex. 3.4F, 123.45 -심볼릭 상수 형한정: const 형한정어를 이용하여 선언 및 정의 되는 상수 (ex. const int nMax = 100;) 전처리기: #define 전처리기로 선언 밑 정의 되는 상수 변수 변수는 구체화 하지 않았거나 앞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수 를 말한다. -변수는 이름으로 식별한다. -변수는 그릇이고 상수는 그릇에 담을 ..
-
Spring MVC 패턴Spring 2020. 10. 25. 17:06
1. Spring MVC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이다. Model: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정보, 데이터 의미 View: 화면 출력 로직을 담당 Controller: Model과 View의 연결하는 제어 로직을 담당 2.Spring MVC 처리 순서 DispatcherServlet Spring Framework가 제공하는 Servlet 클래스 Spring MVC의 핵심 구성 요소 사용자의 Request 을 관리 Dispatcher가 받은 Request 을 HandlerMapping에게 위임 Spring 에서는 front controller는 DispatcherServlet 이라고 하고 Controller는 handler 라고 말함 HandlerMapping requestUR과 Con..
-
Spring에 커넥션풀(Connection Pool) 등록 - HikariCPSpring 2020. 10. 24. 14:26
커넥션풀 이란? 위의 그림처럼 풀(Pool) 속에 데이터 베이스와의 연결들을 미리 만들어 두고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시 풀에 남아있는 커넥션중 하나를 받아와서 사용한뒤 반환 하는 기법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을때 사용자들이 요청할때마다 연결을 만들고 해제하는 과정을 진행하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커넥션풀을 이용하여 미리 여러 연결을 만들어놓고 필요한 사용자가 요청시 미리 만들어 놓은 연결을 주는 형식인 커넥션 풀이 더욱 효과적임 xml을 통해 빈을 등록할때는 아래의 코드를 사용하면 된다 root-context.xml에 등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그러면 스프링에 appl..
-
데이터와 변수알고리즘 & 자료구조 2020. 10. 24. 00:58
앞에서 알고리즘은 컴퓨터에 지시하는 처리 절차라고 했다. 그 처리의 대상이 되는 것이 바로 '데이터' 이다. 그리고 데이터의 처리를 실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가 '변수'다.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알고리즘에 의해 컴퓨터에 지시되는 처리내용은 크게 데이터 입력, 데이터 가공, 데이터 출력 으로 구분된다. 입력 출력 데이터 -----> 컴퓨터 -----> 가공된 데이터 가공 컴퓨터는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는 동안,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 라는 장치에 저장한다. 컴퓨터는 알고리즘에서의 처리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꺼내 , 가공한 후 메모리에 저장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메모리 메모리는 많은 서랍을 지닌 서랍장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이 서랍에 데이터를 넣어 저장하는 것이다. 어느 서랍에 어떤 ..
-
알고리즘의 기본알고리즘 & 자료구조 2020. 10. 24. 00:17
알고리즘 :한마디로 표현 하자면 '절차' 라고 할수 있다. 하지만 단순한 절차가 아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알고리즘은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하나하나 구체적인 순서에 따라 표현한 아이디어나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좋은 알고리즘이란? - 알기 쉽다 : 알고리즘은 가능한 알기 쉬워야 한다. 여러사람이 작업하는 경우와 추후 수정 혹은 기능을 추가 할때 이해하기 쉬워야한다. -속도가 빠르다 :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실행한 후 그 결과가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짧은 시간에 올바른 결과를 얻을수 있는 알고리즘이 좋은 알고리즘이라고 할수 있다. -효율적이다 :효율적이다 라는것은 프로그램을 실행할때 사용하는 메모리의 영역이 작다 라는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