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ArrayListJAVA 2022. 6. 26. 18:36
ArrayList를 설명하기에 앞서, 필요한 사전지식을 매우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자바에는 컬렉션 프레임웍(Collection Framework)라는것이 존재한다. 컬렉션 프레임 웍 이란 ' 데이터 군을 저장하는 클래스들을 표준화한 설계'를 뜻한다. (간단하게 생각하자면 다양한 데이터 타입들을 다루기 쉽게 하기위해 제공하는 클래스들? 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컬렉션 프레임웍엔 3 가지의 컬렉션 데이터 그룹이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각 컬렉션을 다루는데 필요한 기능을 가진 3가지의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있다. 1. List 2. Set 3. Map 그 중에서 List의 ArrayList가 오늘 정리할 내용이다. List 인터페이스 List인터페이스는 중복을 허용하면서 저장순서가 유지되는 컬렉션을 구현 하는데 ..
-
[mybatis] Mapper Xml 파일 - select문카테고리 없음 2022. 4. 17. 22:40
cache - 해당 네임스페이스을 위한 캐시 설정 cache-ref - 다른 네임스페이스의 캐시 설정에 대한 참조 resultMap - 데이터베이스 결과데이터를 객체에 로드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엘리먼트 sql - 다른 구문에서 재사용하기 위한 SQL 조각 insert - 매핑된 INSERT 구문. update - 매핑된 UPDATE 구문. delete - 매핑된 DELEETE 구문. select - 매핑된 SELECT 구문. Select 가장 흔히 사용할 엘리먼트.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올때 사용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mybatis의 select는 데이터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매핑한다. SELECT * FROM PERSON WHERE ID = #{id} 이 구문의 이름은 selectPerson 이..
-
props 와 stateReact 2022. 3. 24. 23:59
props란? 프로퍼티의 줄임말이며, 상위 컴포넌트(부모)가 하위컴포넌트(자식)에게 값을 전달할때 사용한다. props는 읽기 전용 데이터로서 수정 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컴포넌트에서의 props //1.함수 컴포넌트에서의 props function Welcome(props) { return Hello, {props.name}; } // 2.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의 props class Welcom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Hello, {this.props.name}; } } props를 이용한 컴포넌트 렌더링 ... function Welcome(props) { return Hello, {props.name}; } const elemen..
-
React란?React 2022. 3. 7. 22:46
React란? 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선언적이고 효율적이며 유연한 js 라이브러리 "컴포넌트"라고 불리는 작고 고립된 코드의 파편을 이용하여 복잡한 UI의 구성을 돕는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사람들과 컴퓨터, 시스템, 기기, 도구 등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매개하는것인데 우리가 흔히 접하는 키보드, 마우스, 아이콘, 도움말 또한 인터페이스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앞서, React는 선언적인 라이브러리 라고 이야기 하였다.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선언적인, 혹은 선언형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일까? 선언형 프로그래밍 위키 백과에 따르면 선언형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램이 어떤방법으로(How) 해야 하는지를 나타내기 보다 무엇과(What)과 같은지를 설명하는 경우에 "선언형" ..
-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컴퓨터 사이언스 2021. 10. 30. 22:56
객체지향 분석(OOA : Object Oriented Analysis)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요구된 문제와 관련된 모든 클래스. 이와 연관된 속성과 연산. 그들관의 관계를 정의하여 모델링 하는 방법 객체지향 분석의 방법론 럼바우 방법: 분석 활동을 객체 모델, 동적 모델, 기능 모델로 나누어 수행하는 법 객체 모델링 기법(OMT, Object-Modeling Technique)라고도 함. '객체 모델링' -> '동적 모델링' -> '기능 모델링' 순서 객체 모델링 정보 모델링 이라고도 하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 식별 및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여 객체 다이어그램 으로 표시하는것. 동적 모델링 상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들 간의 제어, 흐름, ..
-
객체 지향(Object-Oriented)컴퓨터 사이언스 2021. 10. 30. 21:49
객체지향에 관련된 서적을 읽다가 문득 든 생각 과연 나는 체계적인 로직을 세우고 설계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했는가? 솔직하게 고백하자면 그러지 못했던것 같다. 단순히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개발을 해왔던것 같다. 이 기회에 반성하며 객체지향에 관한 개념을 다시 정리하려고 한다. 객체 지향의 개요? 현실 세계의 개체를 기계의 부품처럼 하나의 객체로 만들어, 기계적인 부품들을 조립하여 제품을 만들 듯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에도 객체들을 조립해서 작성할 수 있는 기법! 덕분에 복잡한 구조를 단계적, 계층적으로 표현 하고 인간친화적인 방식으로서 이해하기 쉽다. 또한 재사용 및 확장이 용이하여 빠른 개발과 유지보수가 쉽다는 이점이 있다. 많이들 붕어빵 틀을 예제로 사용하시는데, 생각해보면 붕어..
-
[JAVA] iteratorJAVA 2021. 9. 30. 17:22
Iterator란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서드로 while문을 사용해서 컬렉션의 클래스 요소들을 읽어올수 있다. 주요 메서드 boolean hasNext() 읽어 올 요소가 남아있는지 확인.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반환한다. object next() 다음 요소를 읽어온다. next() 를 호출하기전 hasNext()를 호출해서 읽어올 요소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게 안전하다. void remove() next()로 읽어 온 요소를 삭제한다. (선택적 기능) int i = 0; while(i < 5) { if(!reviews.hasNext()) //존재하는 리뷰가 5개보다 적을때. { System.out.println("---------결과 끝.----------"); retur..
-
JOIN (INNER JOIN, OUTER JOIN, LEFT JOIN, RIGHT JOIN)DB 2021. 8. 20. 18:49
join이란?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해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이다. 연결하기 위해선 테이블들이 적어도 하나의 칼럼을 공유하고 있어야하고, 이 공유하고 있는 컬럼을 PK 또는 FK값으로 사용해야한다. 우선 2가지의 테이블을 생성해보았다. inner join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INNER JOIN 조인테이블 별칭 ON 기준테이블별칭.기준키 = 조인테이블별칭.기준키; left join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LEFT OUTER JOIN 조인테이블 별칭 ON 기준테이블별칭.기준키 = 조인테이블별칭.기준키; SELECT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테이블별칭.조회할칼럼 FROM 기준테이블 별칭..
-
[JAVA] ArrayListJAVA 2021. 8. 19. 01:23
ArrayList란? 기존의 Vector를 개선한 것이며, Object 배열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배열과 동일하게 인덱스는 0부터 사용하며, 배열과 다른점은 크기를 동적할당 하는것이 가능하다. ArrayList 생성 import java.util.ArrayList; ArrayList lis1 = new ArrayList(); // 자료형을 지정 ArrayList list2 = new ArrayList(); //자료형 생략도 가능 ArrayList list3 = new ArrayList(10); //초기용량 설정 나머지는 코드로 확인해보자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list1 = new ArrayLis..
-
[JAVA] println, print 차이JAVA 2021. 8. 8. 18:39
System.out.println()은 데이터를 출력한 후 자동으로 다음줄로 넘긴다 즉, 개행문자가 붙어있다(엔터키가 붙어있음). System.out.print()는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줄바꿈한다."); System.out.println("줄바꿈한다."); System.out.println("줄바꿈한다.");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이어서 출력한다."); System.out.print("이어서 출력한다."); System.out.print("이어서 출력한다."); } 출력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