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LAN 매체와 유선 LAN (유선 LAN : Ethernet)Network 2021. 7. 22. 19:50
Ethernet 이란? 네트워킹의 한 방식, LAN을 위해 개발된 근거리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 기술로 IEEE표준으로 정의 되어있다. 즉,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IEEE 표준 프로토콜 -Xerox사의 미국 팔로알토 연구소에 근무하던 로버트 멧칼프가 1976에 이더넷을 발명 -초기에 Digital Equipment, intel, Xerox 3사는 이더넷을 표준으로 제안 -미국 표준기구인 IEEE에서 이더넷을 표준으로 지정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이더넷을 국제 표준으로 채택 -이더넷은 LLC와 MAC으로 구성된 2개의 부계층이 존재 -MAC 계층은 매체의 특성과 운용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토콜이 존재 -LAN에서 흐름제어, 에러제..
-
LAN 매체와 유선 LANNetwork 2021. 7. 5. 17:10
전송매체란? 에너지를 전달하는 물질을 의미 전송매체의 종류 유도매체(Guided Media) Twisted-Pair Cable :TP 케이블은 두 개의 도체가 절연체로 감싸고 꼬인 것을 의미 UTP와 STP 케이블 Unshielded Twisted-Pair(UTP)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각 꼬임 쌍을 차폐시키지 않은 것 -품질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뉨 -CAT3는 10Mbps이내로, CAT5는 100Mbps이내의 속도로 운영되도록 규정 Shielded Twisted-Pair(STP) -Shielded Twisted-Pair(STP) -각 꼬임 쌍을 외부잡음의 침투를 막기 위해 차폐시킨 것 UTP 카테고리 TP커넥터 -RJ45(RJ stands for Registered Jack) 커넥터가 많이 사용..
-
다중접속 프로토콜Network 2021. 7. 2. 05:54
다중접속 (Multiple Access) -링크를 여러 장치들이 공유하는 환경에서 전송을 시도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데이터가 섞여버리는등, 충돌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수행 두 개의 부계층이 존재 상위 부계층은 데이터 링크를 제어 하위 부계층은 공유 매체의 접근 문제를 해결 -여러 시스템이 공통의 링크에 연결된 경우, 멀티포인트라 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매체접근 문제를 해결해야함 무작위 접근(Random Access) -서로 대등한 관계의 통신을 하며, 한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을 통제하지 않음 -임의의 시스템이 전송을 위해 시간을 정하지 않음 (Random Access) -어떤 시스템이 전송 할 차례인지 정하는 규칙이 없음 (경쟁 : contention) -여러..
-
스위칭과 다중접속 프로토콜Network 2021. 6. 29. 00:49
스위칭이란? 필요할 때마다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시켜주는것, 스위치를 해주는 방식 스위칭의 필요성 여러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해서는 상당한 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매우 많은 장치들이 존재할때 서로 링크를 연결하기 위해선 비용이 매우 많이 들게 된다. 그래서 사용하는것이 스위치이다. -여러 개의 장치가 있는경우,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하기 위해 선으로 연결 -모든 장치에 서로 링크로 연결되면 문제점이 발생 장치가 많아질수록(큰 네트워크 일수록) 비용이 많이 발생 링크의 대다수는 유휴시간이 많이 효율지 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장치들을 스위치에 연결되도록 구성 (스위치는 필요할 때마다 두 개의 장치를 연결) -스위치들이 연결되어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음 스위칭 방식의 종류 스위칭..
-
네트워크 모델과 표준 프로토콜Network 2021. 6. 28. 00:52
계층화의 개념 계층화를 사용하는 이유? 특정계층에 문제가 생겼을시, 특정 계층만 개선시키기 위함. TCP/IP 모델 - 인터넷 모델이라고도 함 - 5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짐 - 물리 +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합쳐서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도 함 물리계층의 기능 -장치 연결 부분의 물리적인 특성을 명시 -비트의 전기적 혹은 광학적 표현 -데이터 속도, 비트의 동기화, 토플로지, 전송모드, 선로 구성등에 관한 사항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 혹은 케이블 연결, topology) 데이터링크 계층의 기능 프레임화, 송수신 주소 명시, 흐름제어, 에러제어, 접근 제어 등 흐름제어 : 수신 측과 송신 측의 데이터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 에러제어 : 비트에 대한 에러 검출과 복구 접근제어 : 여러 장치..
-
NETWORKS (네트워크)Network 2021. 6. 26. 17:19
network란? 네트워크는 노드 라고 불리는 장치들이 통신링크로 연결된 집합체 장치: PC, 서버, 라우터, 스위치 링크 : 유선 , 무선 1.1.2 Network Criteria 좋은 네트워크가 충족해야 하는 조건들 -performance(성능) : performance는 처리량과 지연시간의 측면에서 측정가능, 처리량(throughout) :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시간당의 데이터의 양 지연시간(delay) : 경유시간, 응답시간, 왕복시간 - 경유시간: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가 전달 되는데 걸리는 시간 - 응답시간 : 요청과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 - 왕복시간(RTT:Round Trip Time) :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 -Reliability : 네트워크 reali..
-
[CHAPTER 1] DATA COMMUNICATIONSNetwork 2021. 6. 26. 16:32
1.1 Data communications 이란? 와이어 케이블과 같은 전송매체의 형식을 통하여 두 장치가 데이터를 교환하는것. 효율적인 Data communications system 의 특징 1. Delivery : 반드시 도착지에 데이터를 전달해야함, 의도된 유저나 장치에 전달되어야 함 2.Accuracy : 시스템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해야함, 전송중 변경된 데이터 혹은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 => unusable 3.Timeliness(시의성) : 시스템은 시기적절하게 데이터를 전달해야함 데이터 생성시 전달, 중대한 딜레이 x => real time transmission 이라고 함. 4.jitter: 패킷 도착시간의 변화를 가리킴, 즉 오디오나 비디오 패킷 배달의 고르지 못한 지연. 1.1.1..
-
[Tomcat] JSESSIONID란Network 2021. 6. 4. 01:51
JESESSIONID란? 톰캣 컨테이너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발급하는 키 HTTP 프로토콜은 stateless하기 때문에 요청시마다 새로운 연결이 생성되고 응답후 연결은 끊기게 되어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서 톰캣은 JSESSIONID 쿠키를 클라이언트에게 발급해주고 이 값을 통해 세션을 유지하도록 한다. 동작방식 1. 브라우저에 최초 접근시 톰캣 Response 헤더에 JSESSIONID값이 발급된다. 2. 브라우저 재요청시 Response를 통해 발급받은 JSESSIONID를 Request 헤더의 쿠키에 값을 넣어 서버에 요청한다 쿠키를 통해 JSESSIONID 값을 전달받게되면 서버는 새로운 JSESSIONID 값을 Reponse 헤더에 발급하지 않는다. 3. 클라이언트..
-
웹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Network 2020. 11. 26. 15:16
인증과 인가는 API에서 가장 자주 구현되는 기능 중 하나로써 Private 한 API는 물론이고 Public 한 API도 기본적인 인증과 인가를 요구한다. 1) 인증 (Authentication)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주장하는 사용자와 같은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유저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절차 예) 회원가입하고 로그인 하는 것. 필요한 이유: 서비스를 누가 사용하며,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 타인에게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함 2) 인가 (Authorization) 권한부여, 클라이언트가 하고자 하는 작업이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허가된 작업인지를 확인 특정 자원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 유저에 대한 권한을 허락하는 것. 3) 정리 유저의 궁극적인 목표는 resource에 접근 ..
-
GET과 POST의 차이Network 2020. 11. 19. 15:58
HTTP HTTP는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요청/응답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요청에 맞는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이때, HTTP 요청에 포함되는 HTTP 메소드는 서버가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해야할 행동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 HTTP 메소드 중 GET과 POST의 특징과 차이점을 알아보자 GET GET은 서버로 부터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 이다. GET은 요청을 전송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Body에 담지 않고, 쿼리스트링을 통해 전송한다. URL의 끝에 ? 와 함께 이름의 값으로 쌍을 이루는 요청 파라미터를 쿼리스트링 이라고 한다. 만약, 요청 파라미터가 여러개 이면 & 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