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스위칭과 다중접속 프로토콜Network 2021. 6. 29. 00:49
스위칭이란? 필요할 때마다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시켜주는것, 스위치를 해주는 방식 스위칭의 필요성 여러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해서는 상당한 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매우 많은 장치들이 존재할때 서로 링크를 연결하기 위해선 비용이 매우 많이 들게 된다. 그래서 사용하는것이 스위치이다. -여러 개의 장치가 있는경우,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하기 위해 선으로 연결 -모든 장치에 서로 링크로 연결되면 문제점이 발생 장치가 많아질수록(큰 네트워크 일수록) 비용이 많이 발생 링크의 대다수는 유휴시간이 많이 효율지 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장치들을 스위치에 연결되도록 구성 (스위치는 필요할 때마다 두 개의 장치를 연결) -스위치들이 연결되어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음 스위칭 방식의 종류 스위칭..
-
네트워크 모델과 표준 프로토콜Network 2021. 6. 28. 00:52
계층화의 개념 계층화를 사용하는 이유? 특정계층에 문제가 생겼을시, 특정 계층만 개선시키기 위함. TCP/IP 모델 - 인터넷 모델이라고도 함 - 5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짐 - 물리 +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합쳐서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도 함 물리계층의 기능 -장치 연결 부분의 물리적인 특성을 명시 -비트의 전기적 혹은 광학적 표현 -데이터 속도, 비트의 동기화, 토플로지, 전송모드, 선로 구성등에 관한 사항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 혹은 케이블 연결, topology) 데이터링크 계층의 기능 프레임화, 송수신 주소 명시, 흐름제어, 에러제어, 접근 제어 등 흐름제어 : 수신 측과 송신 측의 데이터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 에러제어 : 비트에 대한 에러 검출과 복구 접근제어 : 여러 장치..
-
NETWORKS (네트워크)Network 2021. 6. 26. 17:19
network란? 네트워크는 노드 라고 불리는 장치들이 통신링크로 연결된 집합체 장치: PC, 서버, 라우터, 스위치 링크 : 유선 , 무선 1.1.2 Network Criteria 좋은 네트워크가 충족해야 하는 조건들 -performance(성능) : performance는 처리량과 지연시간의 측면에서 측정가능, 처리량(throughout) :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시간당의 데이터의 양 지연시간(delay) : 경유시간, 응답시간, 왕복시간 - 경유시간: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가 전달 되는데 걸리는 시간 - 응답시간 : 요청과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 - 왕복시간(RTT:Round Trip Time) :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 -Reliability : 네트워크 rea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