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네트워크 모델과 표준 프로토콜
    Network 2021. 6. 28. 00:52

    계층화의 개념

     

     

    계층화를 사용하는 이유?

    특정계층에 문제가 생겼을시, 특정 계층만 개선시키기 위함.


    TCP/IP 모델

    - 인터넷 모델이라고도 함

    - 5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짐

    - 물리 +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합쳐서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도 함

    TCP/IP 모델

     

     

    물리계층의 기능 

    -장치 연결 부분의 물리적인 특성을 명시

    -비트의 전기적 혹은 광학적 표현

    -데이터 속도, 비트의 동기화, 토플로지, 전송모드, 선로 구성등에 관한 사항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 혹은 케이블 연결, topology)

     

     

    데이터링크 계층의 기능

    프레임화, 송수신 주소 명시, 흐름제어, 에러제어, 접근 제어 등

    • 흐름제어 : 수신 측과 송신 측의 데이터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
    • 에러제어 : 비트에 대한 에러 검출과 복구
    • 접근제어 : 여러 장치들이 동일한 링크를 공유할 때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ex 둘이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는 상황)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초기 송신지에서 최종 수신지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으로 송수신 주소를 명시하고 라우팅을 수행

     

    *라우팅: 패킷을 최종 목적지로 경로 설정 (여러 경로중 제일 효율적인 경로를 찾는것)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서 보내는 데이터의 단위 

     

    수송 계층의 기능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로 데이터를 전달 (더 상세한 주소, ex 아파트로 치면 몇동 몇호로 갈지)

    -송신지에서 보낸 전체 메시지가 온전하게 최종 목적지로 전달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주소지정, 메시지를 세그먼트단위로 분할 및 조립, 연결제어, 종단간 흐름제어, 종단간 에러제어 수행

     

    응용 계층의 기능

    -파일을 송수신하는 FTP, 원격지 접속을 하는 Telnet

     

    *FTP : File Transfer Protocol

    -전자우편을 주고받는 SMTP, 하이퍼텍스트를 지원하는 HTTP등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가 존재

     


    표준 프로토콜

     

    프로토콜 :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이용되는 규칙의 집합

     

    표준화 기구로 ISO,ITU-T,ANSI,IEEE,EIA등이 존재한다.

     

    표준프로토콜은 합의된 규칙으로 De facto 표준과 De jure 표준으로 구분

     

    -De jure : 표준화를 제정하는 기구가 공식적으로 표준으로 사용할 것으로 규정한것.

    -De facto : 사실상 표준으로서 이미 많이 이용되고 있어서 표준으로 채택된것

    728x90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중접속 프로토콜  (0) 2021.07.02
    스위칭과 다중접속 프로토콜  (0) 2021.06.29
    NETWORKS (네트워크)  (0) 2021.06.26
    [CHAPTER 1] DATA COMMUNICATIONS  (0) 2021.06.26
    [Tomcat] JSESSIONID란  (0) 2021.06.04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