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LAN 매체와 유선 LAN (유선 LAN : Ethernet)

인디아나쥰이 2021. 7. 22. 19:50

Ethernet 이란?

 

네트워킹의 한 방식,

LAN을 위해 개발된 근거리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 기술로 IEEE표준으로 정의 되어있다.

 

즉,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IEEE 표준 프로토콜

 

-Xerox사의 미국 팔로알토 연구소에 근무하던 로버트 멧칼프가 1976에 이더넷을 발명

-초기에 Digital Equipment, intel, Xerox 3사는 이더넷을 표준으로 제안

-미국 표준기구인 IEEE에서 이더넷을 표준으로 지정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이더넷을 국제 표준으로 채택

 

-이더넷은 LLC와 MAC으로 구성된 2개의 부계층이 존재

 

 

-MAC 계층은 매체의 특성과 운용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토콜이 존재

 

-LAN에서 흐름제어, 에러제어 등 각종 제어에 대한 행위를 수행

  • 이 부계층을 LLC(Logical Link Control)이라고 함
  • LLC는 모든 LAN에서 공통의 계층

-초기 이더넷은 10Mbps를 제공하였고 이후

-Fast Ethernet(100Mbs)

-Giganit Ethernet(1Gbps)

-Ten-Gigabit Ethernet(10Gbps)로 발전

 

 

-MAC 프레임

:이더넷 프레임은 7개의 필드로 구성

 

  • Preamble : 프레임이 곧 도착하니 준비하라는 의미
  • Strat frame delimiter (SFD) : 프레임의 시작을 알림
  • Destination address (DA) : 목적지 주소
  • Source address (SA) : 송신지 주소
  • Length / type : 데이터 필드의 길이,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의 종류
  • 데이터 : 최소 46바이트에서 최대 1500바이트까지 가능
  • CRC : 에러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

 

 

-주소지정

  • 각 시스템은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갖고있는데, LAN카드라고도 불림
  • LAN카드에는 고유 주소가 설정되어 있음

 

 

-MAC 프로토콜 : CSMA / CD

:이더넷은 1-persistent CSMA/CD를 사용
(유선의 경우 : CSMA / CD 사용    무선의 경우 : CSMA / CA 사용)

 

 

 

이더넷의 형태

 

-10Base5 : Thick Ethernet

  • 처음에 만들어진 이더넷
  • Thick Ethernet, 또는 Thicknet으로 불림

 

-10Base2 : Thin Ethernet

  • 두 번째 개발된 이더넷
  • thin Ethernet, 또는 Cheapernet이라고 불림

 

 

-10BaseT : Twisted-Pair Ethernet

  • 허브 : LAN에서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치
  • 보통 포트 수에 따라서 16포트 허브, 24포트 허브 등으로 불림

 

-10Base-F:Fiber Ethernet

  • 시스템과 허브를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광 케이블을 이용

 

 

Fast Ethernet

-기존의 이더넷보다 10배 빠름, 100Mbps를 제공

-Fast Ethernet은 기존 이터넷과 호환가능

-자동협상(Autonegotiation)기능으로 속도 등을 조정

-개발된 형태는 3종류

 

 

Gigabit Ethernet

 

-속도가 1Gbps로 상향되었으나 기존 이더넷이나 고속 이더넷과 서로 호환 가능

-광섬유나 TP를 이용한 개발된 형태를 갖고있음

 

Ten-Gigabit Ethernet

-10Gbps로 속도가 상향 / 기존 이더넷, 고속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과 서로 호환되도록 설계

 

728x90
반응형